목록물갈이 (3)
무지개타고

주가 조작 의혹 수사에서 김건희를 불기소 했다.그 엄마라는 것도 불기소 했다.수익이 23억인데.검사가. 그럴 수는 있는데 앞뒤가 안 맞잖아?공범들은 유죄인데! 기억나지 않고, 의미가 불명하면 불기소야? 정권이 바뀌어도 검사넘들 대가리 뿐만 아니라 밑에 떨거지 새끼들까지 싹 물갈이하지 않는다면똑같은 짓을 또 할 거 아니야!!하나회 척결하듯이 싹~ 죽여버려야 해! 얼마 전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입틀막으로 국방부 장관된 김용현이가"군복 입었다고 할 얘기 안 하면 병신"이라고 지껄였는데,권력에 아부하고 기생하는 넘들은 계속 나타나게 되어있고그럼 또 죽여야지!! 나라가 망하는 이유는 여럿이지만간신 하나로도 망하는 이유는 충분하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대표적으로 겨우 100년 전 이완용이 있었고, 900년 전..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에도 말이 많았다. 여론조사와 투표 결과가 너무나 달라서... 그래서 반성 좀 하나 했다. 그러나 서울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투표 의향을 조사한 결과와 투표율은 달라도 너무 달랐다. 즉 반성은 개뿔~~~ - 낮은 응답률 한계… 사실상 공개투표도 원인 위 기사에 소개된 조사만 놓고봐도... 이건 변명의 여지가 없다. 역시나 표본의 대표성이 문제고, 표본 추출 방법의 문제다. 이는 응답률 5~15% 밖에 안 되는 전화조사의 한계다. 몇년을 지켜봐도 고치지 못 하는... ※ 주의 : 자료 인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추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미 알면서도 이를 공개한 여론조사 회사의 얄팍한 직업 의식. 어렵다는 것을 예감했다면 당연히 공개하지 말았어야 했다. 그러나 돈 몇 푼에..
여론조사가 뭇매를 맞고 있다. 그런데 어째 매가 신통치 않아 보인다. 침묵의 나선 이론 및 거짓 응답, 무분별한 언론보도 등등 그러나 이따위는 비표본오차고 정치적, 사회적 접근이니 내 관심대상이 아니다. 난 통계적 시각에서 바라본 매를 원한다. 그래서 매다운 매가 뭐 있을까 기사 좀 찾아봤다. "아직 응답률이 조사 결과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한다" 응답률이 낮으면 자료가 튈 가능성이 높다. 그런나 근거가 없다? 좀 황당하다. 이는 나중에라도 한번 찾아봐야겠다. - 여론조사의 허망함을 느낀 이들에 대한 충고 종합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그리고 앞서 기사와 다르게 낮은 응답률의 문제를 꼬집고 있다. - 과학으로 포장된 ‘여론조사’에 속지 않는 법 전화번호부의 커버리지가 예전만 못하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