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선거 (11)
무지개타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결과 박영선이 오세훈한테 졌다. 투기 세력에게 졌다. 뉴타운 광풍으로 서민들 고생하게 만든 그 투기 세력에게 졌다. 부동산 정책 정보를 빼돌려 투기한 LH나 공무원 문제 보다, 선거 결과는 '우리 그냥 투기하게 해주세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정권 초기부터 강력하게 부동산 투기를 억제했어야 했음에도 연착륙 시킨답시고 이거 찔끔, 저거 찔끔 내놓고 하다가 투기 세력에게 졌다. 그렇게 노무현 때도 투기 세력에게 졌었다. 다음부터는 어떤 후보도 투기 억제 정책을 내세우지 않을 것이다. 왜? '우리 그냥 투기하게 해주세요'에게 무슨 말이 통하겠나. 그리곤 일본처럼 버블 붕괴. 그때 되면 아무도 책임질넘 없겠지. 정말 뭣 같은 선거 결과다.

미국의 2020 대선 결과가 아직도 미정? 선거인단 결과가 나왔음에도 대선 결과는 모른다니 뭔 소린지... 코로나로 국민이 20만 명 넘게 죽어나가도 눈썹 하나 까딱하지 않고 죽자고 달려드는... 트럼프 진짜 대단한 넘이다. 난 미치광이 전략과 막말을 더 이상 보기 싫어 바이든이 당선되기를 바라지만 아직도 결과는 오리무중이란다. 뭔 선거 제도를 이렇게 엿 같이 만들어 놨는지. 또 그딴 나라를 민주주의 완성체로 배웠으니 어처구니가 없다. 트럼프에 지연 전략의 성공 여부를 떠나서, 제멋대로 남에 나라에서 전쟁하고 쿠데타 조장하던 넘들도 이참에 한 번 당해봐야 한다. 민심과 다른 선거 결과가 나오면 어떻게 되는지를.
서울시장 보궐선거 운동 기간이 끝나기 전에... 박원순 후보의 선전을 바란다!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에도 말이 많았다. 여론조사와 투표 결과가 너무나 달라서... 그래서 반성 좀 하나 했다. 그러나 서울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투표 의향을 조사한 결과와 투표율은 달라도 너무 달랐다. 즉 반성은 개뿔~~~ - 낮은 응답률 한계… 사실상 공개투표도 원인 위 기사에 소개된 조사만 놓고봐도... 이건 변명의 여지가 없다. 역시나 표본의 대표성이 문제고, 표본 추출 방법의 문제다. 이는 응답률 5~15% 밖에 안 되는 전화조사의 한계다. 몇년을 지켜봐도 고치지 못 하는... ※ 주의 : 자료 인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추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미 알면서도 이를 공개한 여론조사 회사의 얄팍한 직업 의식. 어렵다는 것을 예감했다면 당연히 공개하지 말았어야 했다. 그러나 돈 몇 푼에..
최근 트위터를 위시로한 SNS가 화두인데 이와 관련된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마이크로블로그 이용 실태조사를 보면 인터넷 이용자 중 마이크로블로그 이용률은 12.4%로 조사됐다. 그리고 앞서 실시한 2010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에서도 비슷한 항목이 있는데 여기선 SNS 이용자 중 마이크로블로그 이용률이 11.6%로 조사됐다. 처음엔 1%p 안 되는 차이를 보려고, 조사시기도 얼마 차이나지 않는데 조사를 왜 했을까 했다. 돈 아깝게... 그러나 내 생각이 짧았다는 것을 알았다. 먼저 두 조사의 조사설계를 간단히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 주의 : 자료 인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두 조사는 조사시기 외에도 모집단에 대한 정의, 조사대상, 조사방법 등 많은 내용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마..
이번에도 지방선거 투표 마감과 동시에 각 언론사 마다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신뢰성 향상과 비용 절약"을 내걸고 시작한 방송3사의 공동 여론조사일 것이다. 기사를 검색해보니 이번 방송3사 공동 여론조사에 약 20억 가량 쏟아부었단다. 참여한 조사회사는 KRC, TNS RI, MBMR 3개 회사다. 결과가 제법 잘 맞았나 보다. 자화자찬 하는 꼴이... - 여론조사 안맞고 출구조사 '정확'했다 진짜? 광역단체장에 대한 방송3사의 출구조사와 실제 득표율 자료를 갖고 적합도 검정을 돌려봤다. - 적합도 검정 결과 적합도 검정 결과 주요 관심 지역이 아니었는지 대구, 경북, 전북, 전남 및 충북에서 유의확률(P-Value)이 유의수준 0.05 미만으로 나타나 귀무가설이 기각 됐다..
명박이 반성 제대로 안 했다. 촛불 보고 반성하라니 이보다 더한 적반하장이 또 있을까. 그래서 반성하고 투표하자는 영상이 나왔다. 또 눈길을 끄는 투표 참여 홍보 영상이다. 마직막 장면에서는 전율마저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