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opulation (131)
무지개타고
교통사고 통계 2010년 자료가 인터넷에 올라왔다. 먹물 새퀴 말이 맞는지, 틀리는지 또 훑어보자고~ 우측보행 사상자 확인에 앞서, '교통사고 사상자 절반줄이기 종합시행계획'(2008년8월)이 목표대로 실현 됐지는 먼저 보면 그나마 2009년에 비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줄긴 했지만... 2010년 목표치인 4,100명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목표치는 발로 정했나 보다. ※ 주의 : 자료인용 및 처리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젠 2010년7월 부터 전면 시행된 것을 감안하며, 우측보행 효과를 검토해 보자. 먹물 새퀴가 추정하기론 20% 감소 할 것이라 했는데... 실상은.. 1% 감소다. 7월 시행을 감안한다해도 추정한 20%엔 턱 없이 모자란 수치며, 이전 년도 증감률과 비교해도 우측보행을..
SK텔레콤에서 새로운 스마트폰 요금제를 출시했다. 그런데 이게 말이 좀 많다. - 스마트폰 요금제, 스마트하지 못하면 '바가지' 맞춤형 요금제로 이득을 볼 수도, 또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이는 어느 정도 예상되는 일인데... 그럼 어떤 유형일때 손익이 생기는지 궁금해 지기 마련. 그래서 나름 비교를 해봤다. 비교 대상은 SK텔레콤의 맞춤형 요금제와 올인원 요금제. 문자는 200건 사용한다는 가정과 함께... 아래 표에서 보라색은 맞춤형, 올인원 요금제에 모두 제공하는 경우, 노랑색은 맞춤형에서만 제공하는 경우, 회색은 올인원에서만 제공하는 경우다. ※ 주의 : 이하 자료 인용 및 처리 과정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새롭게 출시된 맞춤형 요금제를 적용했을 때 각각의 사용량에 따른 요금이다. 기본 올인..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3차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엔 SNS, 모바일쇼핑 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은 열람해 보길. - 방통위, 2011년 상반기, '제3차'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해당 조사에 기본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 12~59세 스마트폰 이용자 표본크기 : 4,000명 조사방법 : 인터넷조사 조사기간 : 2011-05-29 ~ 2011-06-07 1,2차에 이어 이번에도 응답자 특성표가 빠졌다. 응답자 특성표를 첨부해야 한다고 몇번을 떠들어도... 내 글은 듣보잡이 맞나 보다. -_-;; ※ 주의 : 이하 자료 인용 및 처리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2차 분석 자료를 갖고 얘기할때도 1차 분석 자료를 이용해 추정한 추..
작년에 엑셀 버전별 이용 점유율을 구하면서 엑셀2010 기능에 탄복한 나머지 올해 확장자 xls○을 사용한 질답 게시물 비율이 추정치 보다 높게 나오지 않을까 했는데... 어디 뚜껑 열어볼까~ 방법은 작년과 마찮가지. 참고 사이트 : 엑사모, 오피스튜터 관찰 대상 : 엑셀 파일을 첨부한 질답 게시물 기간 : 2008년 4월, 2009년 4월, 2010년 4월, 2011년 4월 구분 : 첨부파일의 확장자가 '.xl○' 이면 엑셀2003 이하 버전, 첨부파일의 확장자가 '.xls○'이면 엑셀2007 이상 버전 기타 : 기재된 버전과 첨부파일의 확장자 상이시 확장자 우선 ※ 주의 : 이후 자료는 처리 과정에 오류가 있습니다. -_-;; 이 조사의 한계는 작년 글과 같다. 아무튼... 급해 죽겠다. 통계표 부터..
설마설마 했다. 내가 잘 못 구했겠지 했다. 그러나 아무리 계산해도 맞지가 않아... 지난해 부터 스마트폰에서의 통화품질이 계속 논란이 됐다. 그리고 방통위가 답이라고 하며 조사 결과를 공개 했다. - 방통위, 스마트폰 음성통화품질 측정결과 발표 호기심에 소개된 와이즈유저(http://www.wiseuser.go.kr)를 방문해 공개된 자료를 내려받고 간단히 정리부터 하는데... 3G 음성 자료의 부산, 인천에서 구멍 발견? 멍청한 거야, 용감한 거야.. 부산, 인천 예네는 광역시인데 조사 자체도 안 했어? 그리고 직접 계산한 이동통신사별 전국 통화성공률 값이 보도자료와 다르고? 음... 뭔가 냄새가 나. 이에 간단히 3G 음성 자료를 훑어봤다. 첫머리에 나오는 강원도를 보자. 강원 지역 이동통신사 합산..
클리앙에서 한바탕 논쟁이 붙었다. 게실글에 달린 댓글들을 읽어보면 논쟁은 대충 이러하다. 1. 속도측정 방법의 대표성 및 한계 2. 속도측정 결과와 기존 인식 간에 거리감 기사에서 뭐라고 썼기에 이리 논란인지 궁금해 링크한 기사를 찾으니 이미 사라진 상태? 그리곤 선수(?)들만 남아서 설왕설래 중... 이에 왠지 궁금해 나도 다리 하나 얹힌다~ - 세티즌 "3G속도, KT가 더 빠르네" 먼저 해당 실험을 실시한 세티즌 원문을 찾아 읽어보니... 제한된 환경에서의 실험이고, 이 결과만 갖고 일반화해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실험 자체만 놓고봐선 크게 문제될게 없어 보인다. 만일 해당 실험이 문제가 된다면, 왠만한 석사논문에 사용된 실험은 모두 폐기돼야 할거다. 원문을 보면 서두에 실험 동기를 밝히..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이들 있다. 지인도 한때 하계동에서 여의도로 자전거 출퇴근 했다고 하니... 그런데 자전거가 레저용이 아닌 출퇴근용 교통수단으로써 과연 실효성이 있냐는 물음을 아니 할 수 없겠다. 최근 공주시에서 자전거 출퇴근을 권장하며 내세운게 '고유가'다. - 공주시 '자전거 출퇴근 운동' 출정식 물론 최근 고유가로 인해 자전거 출퇴근을 고려하는 이들이 좀 있을거로 여겨진다. - 고유가 시대 '자전거로 출·퇴근' 알뜰 직장인 늘어 그러나 고유가 만으로, 돈지랄하는 자전거 전용도로 확대 만으로, 허울 좋은 친환경 교통수단이란 이름 만으로 자전거 출퇴근이 보편화 될 수 있다고 본다면... 너무나 유아틱한 발상이라고 생각되지 않나? 일단 지들부터도 제대로 못 하면서 말이다. - 의정부시, 공무용 전기 ..
블로그 오른편에 박아논 구글 맞춤검색이 오류를 일으키기에 다시 설정. 구글 얘들은 뭘 바꾸면 바꾼다고 얘길 하고, 기존 서비스는 어떻게든 계속 유지되도록 바꿔야지... 말도 없이 바꿔! 때문에 구글닥스를 이용해 만든 자료를 블로그에 삽입한게 있는데 이젠 대부분 나타나지도 않고... 기발한 발상은 좋은반면, 뒷수습은 대책 없는 구글 되시겠다. 아무튼 괴발개발로 블로그 스킨 수정하고 유입경로 잠깐 보다가 발견한 구전조사 흔적? 닐슨에서 2년 전 코리안클릭을 인수했는데 그네들이었다. 뭐가 궁금해서 이 듣보잡 블로그에 찾아왔을까? 설마 KT 2G 중단 건이여? 그거라면 난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고 보고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