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arameter (800)
무지개타고

작년에 해남까지 걸어가면서 천안역을 비껴 지나친 게 자꾸 생각나서성환역에서 시작해 천안역 찍고환상을 갖고 있는 군산까지 걸어가 보기로 했다. 일정은 당일치기로 총 아홉 구간으로 나눠 진행했다.아침 일찍 기차 타러 가는 게 번거롭긴 하지만 몸에 무리가 안 가서이번에도 이 방식으로 진행해성환역에서 210km를 걸어 비응항에 도착했다. 성환역 → 천안역 → 온양온천역 → 예산역 → 홍성역 → 광천역 → 대천역 → 웅천역 → 서천역 → 군산 비응항 이번 여정에서는 기대하지 않았던 등산을봉서산, 일봉산, 옥마산, 봉화산, 잔미산, 월명산 여섯 개나 오르는 기회까지 가졌다. 이렇게 해서 한반도에 작은 선을 또 하나 새로 긋는다.숙박 없이 대중교통 가능한 경로 위주로 걷게 되어 경로가 한정적이지만걷는 자체가 ..

서천역에서 이어서 출발.이번 구간만 걸으면 성환역에서 시작한 걷기의 종착점인 군산 비응항에 도착하게 된다.이를 위해 사전에 이동 경로와 이동 시간 그리고 기차 시간을 대충 계산하니비응항에 해 지기 전에 도착하는 게 간당간당하겠고좀 더 늦으면 깜깜해서야 도착하게 될지도 모르겠다.여태껏 걷기를 하면서 해 질 때까지 걸은 적은 딱 한 번 있는데 그리 바라지 않는 상황이었다. 밤잠을 설치고 새벽 3시 반부터 준비하고 3시간 넘게 기차를 타다 보니초반에는 몸 상태가 좋지 않았으나그래도 다행인 것은 날씨가 춥지도 덥지도 않고 살짝 서늘한 정도라서걷기에는 좋았다. 열심히 교각 아래를 지나 경로 따라 바쁘게 걷는데갑자기 나타난 풀밭? 옥수수밭?앗 따가와~나중에 확인하니 허벅지와 종아리에 핏자국이 여럿.안 그래도 3..

아래로 내려갈수록 기차 도착 시간이 늦어지니 해 지기 전에 걷기 일정을 마치기 위해전보다 한 시간 일찍 출발하는 기차를 타려고 새벽같이 일어나 준비한다. 창동역까지는 버스를 타고 이동해 용산역 가는 첫 차를 탔는데토요일임에도 사람이 많아 서서 갈 줄이야...참고로 창동역 근처 김밥 가게가 새벽 일찍 영업을 했다.웅천역에서 서천역까지 가는 도중에 음식점도 편의점도 없기에점심으로 이것저것 먹을 것을 준비했는데 이왕이면 김밥까지 한 줄 사서 전철에 오른다. 자 이제 지난 종착점 웅천역에서 이어서 출발~ 의외로 차가 다주 다니는 길을 벗어나 이제 본격적인 시골길을 걷기 위해당당히 무단횡단하는 나를 인증해 주고~ 보령시 유일의 독입운동 마을 주야리를 지나는 길에멀리서 보기엔 저수지에 철새가 내려앉았나 ..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저 연결 고리에서 하나만 사라지면 없었던 일이 되는 거지. 자고로 정책은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는데거짓말하는 넘은 뽑으면 안 되는 거다. - '개입' 넘어 '공천 거래' 의혹‥'불법 정치자금' 가능성도 (2024.11.01/뉴스데스크/MBC)

오늘 일정은 매우 기대되는 구간이다.옥마산, 봉화산, 잔미산 한 번에 세 산을 오르는 1타3피 산행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 지난번엔 구름에 싸인 옥마산이었지만, 이번엔 화창산 옥마산이다.정상 이륙장에서 바라볼 전망이 매우 기대되는구만~ 옥마산 시발점으로 대영사 아래 주차장까지 걸어가기 위해 대천역에서부터 다음 지도 안내에 따라 걷는데예상 못한 난관과 마주했다.아래 화살표가 가리키는 가장자리 낮은 턱으로 냇물이 넘쳐서 건너가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다.뛰어넘기엔 거리가 멀고, 등산화 벗고 맨발로 건너기는 싫고.그래서 뒤돌아서려는데마침 냇가에서 은행을 씻고 있던, 나보다 연배가 더 있어 보이는 아저씨가 자리를 털고 일어서며 큰 돌멩이를 구하시는 것 아닌가!설마...그랬다.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에 징검다리..

날이 흐리고 조금 쌀쌀하다.그래서 장갑을 준비했지~쌀쌀한 바람을 바로 맞으면 맨손이 많이 시리기 때문.장갑 하나만 껴도 잠바 하나 입은 만큼 몫을 한다. 다시 찾은 광천역은 10월 행락철답게 축제 준비로교통경찰 및 장돌뱅이 그리고 각설이가 분주히 움직인다.그런데 각설이가 켜 놓은 스피커가 정말 짜증 날 정도로 시끄럽군. 광천역 앞이 주 무대인가 했는데 걸으며 보니진짜 주인공은 좀 떨어진 토굴새우젓길에 위치한 점포가 아닌가 한다.점포마다 규모도 크고 토굴 앞에서 직접 작업하는 모습도 보인다. 시끄러운 공간은 나와 거리가 멀기에 얼른 벗어나 외진 길로 걸어간다.둑방길.고요 그 자체다.얼마나 고요한지 둑방길을 어기정 거리는 까투리도 여럿 보인다. 그리고 마주친 정자.아~당당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정자..

주가 조작 의혹 수사에서 김건희를 불기소 했다.그 엄마라는 것도 불기소 했다.수익이 23억인데.검사가. 그럴 수는 있는데 앞뒤가 안 맞잖아?공범들은 유죄인데! 기억나지 않고, 의미가 불명하면 불기소야? 정권이 바뀌어도 검사넘들 대가리 뿐만 아니라 밑에 떨거지 새끼들까지 싹 물갈이하지 않는다면똑같은 짓을 또 할 거 아니야!!하나회 척결하듯이 싹~ 죽여버려야 해! 얼마 전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입틀막으로 국방부 장관된 김용현이가"군복 입었다고 할 얘기 안 하면 병신"이라고 지껄였는데,권력에 아부하고 기생하는 넘들은 계속 나타나게 되어있고그럼 또 죽여야지!! 나라가 망하는 이유는 여럿이지만간신 하나로도 망하는 이유는 충분하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대표적으로 겨우 100년 전 이완용이 있었고, 900년 전..

갑자기 가게 된 177번째 산 마이산. 마이산 북면 가위박물관 주차장엔 평일이어서 사람은 한산 그 자체.오르는 나무 계단이 단풍 물들 때 보면 매우 이쁘겠으나 아직은 기미조차 없다. 우선 암마이봉 정상을 향해 이동하는데짧고 굵게 힘든 오르막이 기다리고 있었다.출발점이 해발 360m쯤이라 암마이봉 정상 687m 까지는 고도차 약 300m만 치고 올라가면 된다.그런데 이게 보통 경사진 게 아니라서시간은 얼마 안 걸리는 것 같아도 엄청 힘이 든다. 그리고 매우 낯선, 마치 콘크리트를 성의 없이 쏟아부은 것 마냥자갈과 시멘트가 뭉쳐 보이는 바위?이를 역암이라고 한다고. 바위산 하면 보통은 화강암이라 매끈한 편인데이렇게 못 생긴 바위(?)는 또 처음이라 감탄사를 연발하게 된다. 주위에 높은 산이 없어서..